카카오재팬 웹툰 ‘픽코마’, 두배 성장.. 첫 분기 흑자
카카오재팬의 만화 플랫폼 픽코마(piccoma)가 작년 4분기 첫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하는 등 3년 연속 거래액이 두 배 이상 증가하는 고속성장을 이어갔다고 밝혔다.
2016년 4월 론칭한 픽코마는 다음해인 2017년 연간 거래액이 14배로 늘어났고, 2018년 156% , 2019년은 130%(2.3배) 증가하여 매년 2배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외형성장 뿐 아니라 내실도 탄탄히 다져가고 있다. 매출 성장과 마케팅 효율화에 힘입어 출시 후 처음으로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섰으며 올해 연간 기준으로도 흑자를 예상하고 있다.
픽코마의 성장을 이끄는 동력은 ‘웹툰’이다. 일본 만화시장은 종이만화와 종이만화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코믹이 중심을 이루는데 픽코마는 디지털 코믹뿐 아니라 모바일용으로 제작한 웹툰을 함께 유통하고 이를 이용자가 유무료로 제공한다. 스마트폰으로 스낵컬처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이 강해지며 평소 만화를 보지 않던 이용자들까지 픽코마로 웹툰을 접하게 되어 만화업계 전체의 파이를 키우는 역할도 하고 있다.
픽코마의 모바일 앱은 통합 2,000만 다운로드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이달 3일에는 픽코마에 서비스 중인 2만여개의 작품 중 작품수 기준 1.3%에불과한 277개 웹툰의 하루 거래액이 3억6천만원(3,196만엔)을 넘어서는 등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이러한 무서운 성장세에는 한국산 ‘K-웹툰’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디앤씨미디어의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은 지난 2018년부터 카카오페이지에서 독점 연재한데 이어 픽코마를 통해 일본시장에 진출, 누적독자수 100만명을 넘기며 픽코마 ‘BEST OF 2019’에서 1위 웹툰으로 선정됐다. 올해 3월에는 월간 거래액이 10억원을 넘기며 명실상부 한일 양국을 대표하는 웹툰으로 자리매김 중이다.
카카오재팬 김재용 대표는 “픽코마는 ‘기다리면무료’와 같은 한국의 콘텐츠 비즈니스를 거대한 만화시장을 가진 일본에 접목해 업계의 디지털화 및 전체 성장을 이끌었다”며 “최근에는 카카오페이지와 다음웹툰을 통해 검증된 ‘K-웹툰’이 픽코마를 통해 일본에서도 현지 작품 못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어 더욱 높은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엔터 콘텐츠 ‘마코빌’, 15억원 투자유치.. “글로벌 시장에 도전”
- 네이버, 모바일 첫화면에 ‘오디오클립’ 전면 배치
- 잡플래닛, 자체 미디어 ‘컴퍼니타임스’ 선보여..
- 음악 저작권 공유 ‘뮤직카우’, 70억원 투자유치.. “IP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
- 한류 장소 정보 큐레이션 ‘스타트립’, 컴퍼니비에서 투자유치
- 블루비커, 메디컬 일러스트 플랫폼 선보여
- 오드엠, 유튜브 컨텐츠 제작 나서.. 합작법인 ‘우주오즈’ 설립
- BTS월드 출시 ‘테이크원컴퍼니’, 120억원 투자유치.. “오리지날 IP 개발 박차”
- 구글, ‘인디게임 페스티벌 2020’ 탑 20 개발사 선정.. 하반기에 결승 이벤트
- 리디, 200억원 투자유치.. “프리미엄 콘텐츠 플랫폼 입지 다질 것”
- 카카오, 카카오메일 PC 버전 선보여
- 카카오커머스, 코로나19 피해 농어촌을 위한 특별 기획전 진행
- 에버랜드, “카톡에서 티켓예매와 식음료 주문.. 주차도 해결”
- 카카오, 여민수∙조수용 공동대표 연임
- 카카오임팩트, 카카오프로젝트100 시즌2 오픈
- 카카오, 21대 총선 페이지 오픈
- 카카오 AI 기술 LG가전에 연결.. “헤이카카오, TV에서 ‘이태원클라쓰’ 틀어줘”
- 글로벌 운세 콘텐츠 ‘포스텔러’, 카카오게임즈 등에서 30억원 투자유치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NH투자증권과 디지털 업무 혁신 협약 체결
- 카카오, “차별-혐오 댓글 삭제 및 작성자 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