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단위 빌려쓰는 ‘쏘카 플랜’, 누적 1천건 돌파.. 출퇴근 목적이 가장 많아
쏘카가 운영하는 기간제 대여 서비스 ‘쏘카 플랜’이 출시 6개월 만에 누적 계약 1천건을 넘어섰다. 이용자 중 절반에 가까운 41.5%가 계약을 연장할 만큼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쏘카 플랜은 쏘카를 1개월 단위로 최대 36개월 이용할 수 있는 기간제 대여 서비스다. 대여 차종은 아반떼, 레이, 미니클럽맨과 같은 경형, 준중형 차량부터 G80, 스팅어, K5, 카니발, 투싼, 스포티지와 같은 국산 중대형 세단과 SUV(미니밴 포함) 등 총 13종으로 구성됐다.
지난 2월부터는 제주까지 서비스 지역을 확대했다. 특히 제주 지역의 경우 관광지 중에서도 한달살이와 같은 장기 체류형 수요가 많은 특성을 고려해 1개월 계약 후 연장하는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같은 기간 내륙 지역보다 더 합리적인 가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연령대별 계약 비중은 30대가 35.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0대가 33.7%로 나타나 쏘카의 주이용층인 20대와 30대가 절반 이상(68.8%)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40대가 22%, 50대 이상이 8.9%를 차지했다.
이용 목적은 출퇴근이 45.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업무 15.3% △신차출고 대기 및 대차 14% △여가/취미 활동 13.1% △여행 6.6% △자녀 등하교 및 육아 3.5% △대학 통학 2.1% 순으로 나타났다.
대여 기간은 1개월이 62.7%로 가장 많았다. 2~5개월이 23.3%로 6개월 미만의 대여가 8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외 △6~11개월 5.9% △12개월~23개월 4.6%, △36개월 2.8% △24개월~35개월 1.7%, 순으로 1년 이상의 대여는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박미선 쏘카 넥스트그룹장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카셰어링 평균 이용 시간이 증가하는 등 큰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고, 쏘카 플랜의 이용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플랫폼의 강점을 적극 활용해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 편안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셰어링 서비스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쏘카 관련 소식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 쏘카, 박재욱 신임 대표 임명.. ‘타다’ 분할 계획 철회
- 쏘카-무역협회, 스타트업 테스트베드 협력.. “차량 위치 확인 시스템 시험”
- 징역 1년 구형 받은 쏘카 이재웅 대표, “혁신 꿈꿀 수 있게 해달라”
- 쏘카, 자차 처분 회원에 1년간 50% 상시 할인 제공
- 쏘카X한국정보과학회 ‘AI 영상분석 경진대회’ 성료
- 해군, 쏘카 비즈니스 도입
- 마이크로모빌리티 ‘일레클’, 스마트락 ‘바이시큐’ 인수
- 차량 구독 ‘쏘카 패스’, 구독자 10만명 돌파.. 파격할인 담은 슈퍼패스 출시
- ‘타다X쏘카’ 법인용 결합상품 출시.. “회사 차도 공유하자”
- 쏘카-화성시, 공무 수행에 전기차 공유 서비스 적용
- 카카오T 블루, 울산-광주-의정부 진출.. 연내 전국 1만대로 확대
- 자동차 MRO ‘공업사스토어’ 투자유치.. “오프라인 지점 확장과 온라인 고도화”
- 반반택시, 동승택시 너머 일반호출 서비스 강화
- 카카오내비, “터널 안에서도 끊기지 않는 길안내”
- 자율주행 ‘팬텀AI’, 2200만달러 투자유치.. 포드도 전략적 참여
- 에버랜드, “카톡에서 티켓예매와 식음료 주문.. 주차도 해결”
- ‘고고씽’, 세종시에서 수요 예측 기반 실증 서비스 제공.. 자전거도로 주행 허용
- 뉴빌리티-연세대, 라스트마일 로봇 자율주행 개발 맞손
- 자율주행 트랙터 ‘긴트’, 코오롱인베 등에서 투자유치
- 카모아, 괌-사이판 한인렌트카 예약 서비스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