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2019년 매출 415억원에 41억원 적자.. “플랫폼 가치 상승에 주력”
직방은 지난해 매출 415억원에 영업손실 41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2018년 대비 0.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3.2억원 흑자에서 41억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하며 4년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직방은 매출 확대보다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고 주장한다.
그 결과 직방앱의 누적 다운로드 건수는 2018년 2400만건에서 2019년 2800만건으로 400만건이 늘었다. 이용자가 꾸준히 늘어 올 상반기 내 3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자 증가와 동시에 회원 중개사무소도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직방의 회원 중개사무소 수는 전년 대비 60% 늘어난 4만 곳을 기록했다. 아파트 단지 정보 서비스가 자리 잡으며 2018년 말 기준 2만5000곳이었던 회원 중개사무소수가 1만5000곳이 더 늘어난 것이다.
직방 측은 “플랫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악성 중개사 처벌수위를 높이면서 매출 성장이 다소 둔화”됐다고 밝혔는데, 중개사에 적용된 경고와 탈퇴 등 페널티는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었다. 이밖에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인력 확충과 이용자 저변 확대를 위한 마케팅비 증가도 적자로 돌아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직방은 앞으로 이용자와 중개사로부터 받은 신뢰를 기반삼아 비대면 분양 마케팅과 아파트 분야 신규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코로나19를 계기로 부동산 시장에서도 비대면 마케팅이 본격화되고 있는데, 직방은 신규 분양 및 입주 아파트에 대한’모바일 모델하우스’를 통해 이용자가 오프라인 모델하우스에 가지 않고도 내 손안에서 다양한 분양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직방 안성우 대표는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많아진 만큼 ‘모바일 모델하우스’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직방이 중개는 물론 분양 시장에서도 꼭 필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쿠팡, 2019년 매출 7.2조에 7,200억원 적자.. 전년 비해 적자 34% 줄어
- 패스트파이브, 작년 425억원 매출.. 기업공개 추진
- 마켓컬리, 2019년 390만 회원에 매출 4,300억원.. 물류 투자에 975억 적자
- 아이지에이웍스, 4000억 가치에 150억원 투자유치.. 작년 매출 2000억원 돌파
- 스마트스터디, 2019년 매출 1,000억 돌파.. 영업이익 347억원
- 야놀자, 2019년 매출 3,000억원.. 거래액 4조 돌파
- 카카오, 2019년 매출 3조원 돌파.. 영업이익도 2,000억원
- 네이버, 작년 매출 6.6조원, 영업이익 7,100억원
- 카카오, 3분기 매출 7800억원 영업이익 591억원..사상 최대 실적
- 네이버, 3분기 매출 1.6조원.. 영업이익 2천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7% 증가
- 오늘의집, 월 거래액 700억원 돌파.. 가입자도 750만명 달해
- 모임 컨시어지 ‘앤드스페이스’, 윤민창의투자재단에서 투자유치
- 패스트파이브, 작년 425억원 매출.. 기업공개 추진
- 도심형 소형 창고 ‘큐스토리지’, NHN에서 40억원 투자유치
- 글로벌 모기지 그룹, 스파크랩 등에서 50만달러 투자유치
- 매출연동형 매장 매칭 ‘파이’, 인포뱅크에서 투자유치
- 스파크랩, 싱가포르 기반 IoT-스마트시티 액셀러레팅 ‘커넥스’ 런칭
- 브리즈인베스트먼트가 선택한 첫 투자는 인테리어 물류 ‘하우저’
- 팝업스토어 플랫폼 ‘스위트스팟’, 디즈니 프린세스 매장 오픈
- 직방, ‘성수동 살아보기’ 참여자 모집(~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