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2019년 390만 회원에 매출 4,300억원.. 물류 투자에 975억 적자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는 2019년에 전년 대비 173% 증가한 4,289억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3일 밝혔다.
2019년 컬리는 전년 대비 2.7배의 매출 성장과 함께 누적 회원 수 179% 증가, 포장 단위 출고량 191% 증가, 총 판매 상품 수 210% 증가 등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룬 한 해였다. 하지만 신규 고객 획득 및 물류 역량 확보를 위한 선제적인 투자로 97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전년 349억 대비 2.7배 증가했다.
컬리는 2019년에 390만명의 회원 수를 달성했다. 이는 2018년 말 140만명 대비 2.7배 증가한 성과다. 마켓컬리에 가입한 고객의 재구매율은 61.2%에 달할 정도로 충성도가 높다. 홈쇼핑, 인터넷 쇼핑 업계 재구매율인 28.8%의 2배를 훨씬 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또한 컬리는 물류(Fullfillment) 내재화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2019년 물류에도 많은 투자를 단행했다. 매월 10% 이상 늘어나는 주문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2018년 3개의 물류센터를 운영하던 것을 2019년에 추가로 3개의 센터를 더 오픈해 총 6개 센터를 운영했다.
추가 오픈한 센터를 포함한 2019년 말 물류센터의 전체 면적은 2018년 대비 4.9배 증가했다. 이와 같은 물류센터 확장과 효율화를 통해 컬리의 포장 단위 출고량은 2018년 788만개에서 2019년 2,300만개로 2.9배나 커졌다. 2019년 1년간 배송된 총 판매 상품 수도 8,350만개로 2018년의 2,760만개의 3.1배에 달한다. 컬리는 이러한 배송량의 증가에도 배송 비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2년간 약 24% 낮췄다.
2020년 서비스 오픈 5주년을 맞는 컬리는 고객들의 신뢰와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컬리만의 기준을 충족하는 다양한 상품을 최적의 가격으로 제공하도록 PB 상품 개발에도 주력할 예정이다. 2020년 2월 처음 선보여 4월 현재 50,000개 이상 판매된 ‘컬리스 동물복지 우유’가 그 첫번째 상품이다.
컬리 김슬아 대표는 “고객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컬리는 더 좋은 서비스를 더 오랫동안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속가능한 유통을 위한 다양한 투자를 기반으로 2020년에도 높이 성장해 고객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 하겠다”고 말했다.
- 아이지에이웍스, 4000억 가치에 150억원 투자유치.. 작년 매출 2000억원 돌파
- 스마트스터디, 2019년 매출 1,000억 돌파.. 영업이익 347억원
- 야놀자, 2019년 매출 3,000억원.. 거래액 4조 돌파
- 카카오, 2019년 매출 3조원 돌파.. 영업이익도 2,000억원
- 네이버, 작년 매출 6.6조원, 영업이익 7,100억원
- 카카오, 3분기 매출 7800억원 영업이익 591억원..사상 최대 실적
- 네이버, 3분기 매출 1.6조원.. 영업이익 2천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7% 증가
- NHN 2분기 실적, 매출 3,662억에 영업이익 254억원.. 실적 호조
- 카카오 2분기 매출 7330억원.. 카톡 광고 톡보드 안착
- 네이버, 2분기 매출 1.6조원 영업이익 38% 줄어
- 중고나라, 카옥션과 제휴.. 중고차 거래 강화
- 쿠팡, 패션 플랫폼 ‘C.에비뉴’ 오픈.. “옷도 로켓배송 가능”
- 모바일 중고거래 ‘쿠돈’, “코로나19에 명품도 비대면 거래 급증”
- 마켓컬리, “음향-뷰티 생활용품도 있어요”
- 쇼피코리아, 동남아 진출 스타트업 모집(~4/30)
- 카카오커머스, 코로나19 피해 농어촌을 위한 특별 기획전 진행
- 패션 쇼핑앱 ‘브랜디’, 210억원 투자유치.. “동대문 기반 물류체인 강화”
- B2B 패션 플랫폼 ‘신상마켓’, 네이버에서 투자유치.. “물류 고도화와 글로벌 진출 가속화”
- 라이브 커머스 ‘볼라’, 본엔젤스에서 투자유치.. “판매-구매자 끈끈한 커뮤니티 목표”
- 번개장터, 560억원 투자유치.. “리셀 시장으로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