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 SKT 앱스토어라 불리는 SKT 모바일 컨텐츠 오픈마켓에 대한 사업 설명회가 있었다. 너무 많은 분들이 참가신청을 하는 바람에.. 저는 대기자 명단에 올라 결국 참석하지 못했는데, 애플 앱스토어의 성공 때문인지 많은 분들의 관심 속에 행사가 성대하게 마무리된 모양이다. (참가자 전원에게 SDK 및 튜토리얼이 담긴 USB 메모리를 증정했는데.. 여기에 바이러스가 있었다는 좀 황당한 소식도 전해진다.ㅋㅋ)
이동통신사가 허용한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만 이용할 수 있었던 사업모델이.. 외부에 있는 개인이나 사업자가 자유롭게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올려 판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사업 구조 자체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애플 앱스토어의 성공모델이 이동통신사를 움직인 것이 사실이지만.. 이로 인해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도 변화가 생긴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개인이나 사업자는 추가적인 수익을 올릴 수도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그런데.. 이동통신사의 주력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에 대해서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문 보도를 보니 한심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오늘 보도된 아이뉴스24 기사에 따르면 스카이프를 비롯한 인터넷전화(VoIP)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Q. 애플 앱스토어에서 스카이프가 100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인터넷전화(VoIP)나 SK텔레콤이 하고 있는 서비스와 비슷한 부가통신 서비스도 등록 가능한가.
A. VoIP에 대해서는 오픈할 계획이 없다.
애플은 아이폰을 출시할 때 AT&T와의 협의를 통해 3G망에서는 허용하지 않는 대신.. 와이파이(WiFi)망에서는 인터넷전화가 가능하도록 한 바 있다. 현재 앱스토어에는 최근에 공개된 스카이프를 비롯해서 프링(Fring), 님버즈(Nimbuzz), 트루폰(Truphone) 등 수 많은 인터넷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며.. 3G망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이용자의 요청이 빗발치고 있는 상태이다. 얼마 후에 구글의 인터넷전화 서비스인 구글보이스도 앱스토어에 등장할 전망이다.
현재 SKT의 정책을 살펴보면..인터넷전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아예 SKT 앱스토어에 등록조차 못하도록 한다는 것인데, 앱스토어의 진정성마저 의심하게 만드는 조치로 생각된다.
현재 앱스토어와 같은 형태를 제공하지 않으면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SKT는.. 자사 음성 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해 VoIP 어플의 등록마저 제한하는 모순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해외의 경우 독일의 T-Mobile이 아이폰용 스카이프를 막는 조치를 취해 전세계적인 웃음거리를 제공했는데.. SKT도 동일한 망신을 자초하는 것인가?
SKT가 앱스토어를 런칭시키는 등 세계적인 흐름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분명 진일보한 행보이니.. 좀 더 큰 안목으로 인터넷전화에 대해서도 대처하기 바란다.
PS> 통합KT호도 앱스토어를 계획하고 있다는데.. 인터넷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어떤 정책을 취할지 지켜보도록 하자. 경쟁사인 SKT가 막았으니.. 별다른 부담없이 동일한 전략을 취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과연 어떤 행보를 취할까?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MS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오픈.. VoIP 막아 (3) | 2009.05.11 |
---|---|
네이버가 준비 중인 아이팟터치 어플리케이션 (4) | 2009.05.06 |
SKT앱스토어, 인터넷전화 금지 방침 철회하길.. (18) | 2009.04.14 |
영국 이통사 O2도 어플리케이션 장터 선보여.. (0) | 2009.02.24 |
노키아, 오비 스토어 통해 앱스토어에 맞불 (8) | 2009.02.16 |
삼성판 앱스토어 드디어 문열다 (7) | 2009.02.04 |
댓글 영역
참 안타깝네요. 물론 자기들의 수익이 떨어지는 것을 뻔히 알기에 어려운 줄은 알지만 세계적인 VoIP 흐름을 본다면 언젠간 보편화 된다는 것도 알지언정...
저렇게 폐쇄적인 마인드로 일관한다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도태되기 쉽상일듯요.
(이미 스마트폰 컨텐츠에 있어 많이 밀리고 있는 한국 시장이지만..)
이통사의 데이터망은 공공재의 성격이 있는 것이고.. 이 망을 이용해서 이용자가 무슨 서비스/어플을 쓰던지.. 이통사가 관여할 문제는 아니라 판단됩니다.
물론 이통사는 유선인터넷의 진행상황을 면밀하게 파악한 후 무선인터넷망에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려 무척 노력 중인 상태로 보입니다.
'사업'의 생존 본능은 일단 불확실한 경제적/경쟁적 조건에 대해서는 "현재 계획없다"는 실무자의 발언으로 이어지는게 당연하다는 면에서 -_- 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만...
VoIP 활성화를 바라는 유저 입장이라면 이런 '요구'를 자꾸 여러 채널에서 전달해서 압박을 느끼게 하는 것도 그 '사업'이 시장의 요구를 파악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정당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사업' 당사자들이 직접적인 수익 타격을 받는 부분에 대해서 잘 아시는 전문가분들이 좀 더 현실적인 대안도 같이 전망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수익 창출과 수익분배가 가능한 서비스인 경우 VoIP 허용이라든지 현실적인 타협점들은 있을 수 있고, 앞으로 등장도 할 것이라 보입니다.
지금 이통과 일반유선전화 간의 아주 긴밀한 사업자간 연계(사실 '계약'이지요^^)에 의해 상호간의 전화통화가 된다든지 착신전환 등 지능형 Call 서비스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듯이요.
VoIP 에 걸맞는 사업자간 연대 모델이 있겠지요. 먼저 관심 가지신 많은 분들이 의견 공유해서 저같은 사람도 알게 해주세요!
경쟁자들이 더 늘어나고,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이 넘쳐난다면 상황이 달라질까 모르겠습니다만, 지금까지의 모습을 보더라도 - 금지를 푸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입니다.
이 말의 정확한 의미가 궁금해 지는군요.
SKT 차원에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보급을 하지 않겠다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이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VoIP 관련 어플을 법적으로 막겠다는 것인지...
SDK를 공개하는 마당에 네트워크&사운드 입출력 API는 당연히 공개가 될 것이고, 그렇다면 SI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제작도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것마저도 법으로 막겠다는 뜻인지..
"오픈할 계획이 없다"라는 말이
"전사적인 차원에서 지원을 하지 않겠다"라는 뜻인지
"어떤 놈이라도 오픈하면 법으로 막겠다"라는 뜻인지
애매모호합니다.
Skype를 사용할 때에 기본료라는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국내 070 서비스에는 사용자나 별정 사업자는 망이용댓가라는 기본료를 내야 합니다. 사업자 입장에서 보면 처음부터 공정한 경쟁이 될 수 없다는 거죠. 100m 달리기에서 누구는 10m 앞에서 출발하는데, 어떻게 이길 수가 있겠습니까?
All IP 시대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고, 결국 망이용댓가는 언젠가는 0(zero)원으로 수렴하게 되어 있습니다. 기존 수익에 집착하면 집착할수록, 국내 VoIP 시장을 외국 기업에 내 주는 꼴이 날 수 밖에 없습니다.
http://www.gilgil.co.kr/bbs/zboard.php?id=free&no=2821
일단 SK쪽은 자체 통화마저도 품질이 좋지 않다고 불만이 많은 와중에 VOIP를 허용하면 아마도 문제가 심각해질건 뻔합니다...
전개인적으로 LGT가 궁금해집니다...
파격적이라도 할수있는 무선인터넷 정책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있는데요...(OZ무한자유같은...)
아마도 이런 틈바구니에서 특별한 정책을 내놓아서 탈출방향을 마련하는게 좋을거란 판단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기대해볼만한건... MYLG070과 번호 연동같은거?(설마...)
PS. 위내용은 저의 개인적 견해일뿐 기업 의미와 전혀 관련이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KT그룹에서도 마찬가지로 open 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하네요.
신뢰성 있는 루트를 통한 소식인데, 밝히기는 어렵습니다.
이것 마저 매출이 떨어질까봐 막은걸까요?